2023년 6월 29일 주요 경제 뉴스
주요 경제 뉴스들의 간추린 내용을 통해 시장을 이해하고 재테크에 활용하기
간추린 내용
[시장] 정부,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123만 개 설치
- 환경부는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전기차 충전 기반시설 확충/안전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힘
- 이번 방안은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123만 개 이상을 설치한다는 내용이 골자. 이를 위해 환경부는 주거지와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충전기를 집중적으로 설치할 방침
(참고자료)
정부,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123만 개 설치
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에 맞춰, 같은 기간 전기차 충전기도 123만 개 이상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환경부는 제2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
n.news.naver.com
[시장] 미국 AI 반도체 중국 수출 제한 강화
- 미국 상무부가 이르면 다음 달 초 엔비디아와 같은 자국 반도체 기업이 사전 허가 없이 중국에 AI 반도체 칩을 수출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고 보도.
- 미국 엔비디아는 AI 핵심 부품인 GPU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미국은 이미 수출이 금지된 최첨단 AI 반도체외에도 중국용 저성능 반도체까지 모두 막겠다는 의도
- 이와 함께 미국 클라우드 업체가 중국 AI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금지하는 것 을 논의 중
(참고자료)
“美, 저성능 AI 반도체까지 中수출 제한 검토”
WSJ “클라우드도 차단 가능성” 미국 정부가 대중(對中)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을 완전히 틀어 막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첨단 AI 반도체뿐 아니라 ‘저성능 버전’의 AI 반도체까지 수
n.news.naver.com
[시장] 한/일 통화스와프, 달러로 추진
- 정부 관계자는 이번 한/일 통화스와프는 달러 스와프로 체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 이번 통화스와프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경제위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한국 역시 통화스와프가 급하게 필요한 상황은 아니기 때문. 양국이 이번에 재개하는 통화스와프를 최소 규모로 논의 중인 이유도 여기에 있음. 이번 통화스와프는 한/일 양국이 위기 때 활용할 수 있는 경제협력 창구를 다시 연다는데 의미
- 이번 통화스와프가 달러로 이루어지는 것은 유동성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며 특히 최근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상황이고 일본은행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만큼 달러 기준으로 스와프를 협정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의견.
(참고자료)
한·일 8년만에 통화스와프, 달러로 추진
8년 만의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 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구체적으로 ‘달러화 스와프’ 방식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은 미국과 무기한·무제한 상시 스와프를 체결한 상태인
n.news.naver.com
[산업] 편의점 주요 4사, 롯데웰푸드 아이스크림 가격 동결
- 편의점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 24 주요 4사는 7월 1일 예정되었던 롯데웰푸드 아이스크림 인상을 한시적으로 보류하고 가격을 동결하기로 밝힘. 제조사가 공급가격을 올린 제품을 소비자들에겐 기존 가격 그대로 팔기로 결정
- 롯데웰푸드는 아이스크림 15종의 편의점 공급가를 25% 인상하기로 한 바 있음.
(참고자료)
편의점 주요 4사, 롯데웰푸드 아이스크림 25% 인상 ‘보류’키로...식품 업계 가격 인하에 동참
식품 업계의 가격 인하 러시에 편의점 업계도 ‘가격 동결’로 동참하는 모양새다. 편의점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주요 4사는 7월 1일로 예정됐던 롯데웰푸드 아이스크림 인상을 한시적
n.news.naver.com
[산업] 국토교통부, 2032년까지 드론 산업 규모 세계 5위
- 국토부는 제2차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을 통해 2032년까지 드론/로봇이 도심 고층 건물 안까지 물건을 배송하는 시스템을 실현하겠다고 발표.
- 이에 따라 정부는 제주 가파도, 성남시 도심공원 등에서 진행 중인 배송 실증을 마무리해 올해 말까지 드론 전용 비행로와 이/착륙장 등 드론배송 표준 모델을 마련할 계획. 또한 드론 배송을 위한 인프라도 구축. 2027년까지 관제 정보를 통합하는 드론교통관리시스템을, 2028년까지 고층건물 배소주소를 마련할 계획.
(참고자료)
2032년까지 드론 산업 '세계 5위'로…도심에도 서비스 정착
국토교통부가 2032년까지 드론 산업 규모를 세계 5위로 끌어올린다는 포부를 밝혔다. 2032년에는 도심에도 드론 서비스가 정착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오는 2032년까지 드론·로봇이 협업해 도심 고
n.news.naver.com
[정책] 가상자산보호법, 국회 법사위 통과
- 29일 법사위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통과 시킴. 30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을 마치면 특정금융거래정보법 이후 처음으로 가상자산(암호화폐) 관련 법안이 생김.
- 가상자산 사업자의 이용자 자산 보호를 의무화하고 가상자산에 대한 불공정 거래가 발생할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
(참고자료)
[속보]가상자산보호법, 국회 법사위 통과…내일 본회의 의결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이 소관 상임위원회인 정무위원회에 이어 법제사법위원회도 통과했다. 30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을 마치면 가상화폐 관련 법안이 처음으로 마련될 전망이
n.news.naver.com
[기업] 네이버 엔터/숏폼 TF 구축
- 네이버가 동영상 플랫폼 나우와 숏폼 플랫폼 클립을 위한 전담 조직을 구축.
- 네이버는 지난달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태스크포스를 출범. 엔터 TF는 나우에 다양한 신규 콘텐츠를 기획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함. 이와 함께 숏폼서비스 클립에 들어갈 콘텐츠의 기획과 공급을 숏폼 TF가 담당할 계획
(참고자료)
[단독] 유튜브 겨눈 네이버 '엔터·숏폼 TF' 꾸렸다
네이버가 동영상 플랫폼 ‘나우’와 숏폼(짧은 분량의 동영상) 플랫폼 ‘클립’의 콘텐츠 공급을 강화하기 위한 전담 조직을 꾸...
www.sedaily.com
[기업] LG전자 글로벌 스타트업에 1억 달러 투자
- LG전자가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 펀드를 기존 2000만 달러에서 1억 달러로 대폭 확대.
-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던 시절에는 뛰어난 스타트업의 지분가치가 천정부지로 치솟았지만, 현재와 같은 투자 위축시기에는 상대적으로 투자가 용이하기 때문이라는 분석
(참고자료)
LG전자 투자 빙하기에 역발상 글로벌 스타트업에 1억弗 쏜다
실리콘밸리 혁신조직 LG노바 스타트업투자펀드 5배로 늘려 헬스케어·모빌리티 등에 투자 LG전자가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 펀드를 기존 2000만달러(약 260억원)에서 1억달러(약 1300억원)로 대폭 확대
n.news.naver.com
[기업] 삼성전자, 인텔에 밀려 반도체 매출 2위
-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은 89억 2900만 달러로 작년 1분기보다 55.7% 감소 이로 인해 작년 연간 기준으로는 세계 반도체 매출 1위이나 분기별로 보면 작년 3분기부터 3분기 연속 인텔에 1위 자리를 내줌.
- 올해 1분기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체 매출은 1,199억 4,900만 달러로 작년 1분기보다 25.4% 감소
- 반도체 매출순위는 인텔과 삼성에 이어, 퀄컴, 브로드컴, AMD, 엔비디아 순
(참고자료)
'메모리 한파' 삼성전자, 인텔에 밀려 반도체 매출 2위
옴디아, 1분기 실적 집계…마이크론·SK하이닉스 10위 밖으로 메모리 반도체 불황 여파로 삼성전자가 세계 반도체 기업 매출 순위에서 인텔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29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n.news.naver.com
[기업] LG, 자동차 전장 올해 매출 10조 목표
- LG전자의 자동차 전자장비 부문인 VS사업본부가 출범 10주년을 맞음. VS사업본부는 지난해 흑자로 돌아섬. 올해 말엔 누적 수주 잔액 100조 원 돌파가 유력
- LG전자의 대표 전장 사업은 차 내비게이션을 비롯한 인포테인먼트 장비 분야. 여기에 차량용 조명시스템과 전기차 파워트레인 등을 합쳐 3대 사업 영역을 중심으로 전장 사업을 키우고 있음.
(참고자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62393?sid=101
10돌 맞은 LG 車전장 "올 매출 10조 달성"
LG전자의 자동차 전자장비 부문인 VS(전장)사업본부가 출범 10주년을 맞았다. VS사업본부는 지난해 흑자로 돌아섰다. 올해 말엔 누적 수주 잔액 100조원 돌파가 유력하다. 이 기세를 이어 2030년까지
n.news.naver.com
'공부하며 알아가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경제 뉴스 [20230701] (0) | 2023.07.02 |
---|---|
주요 경제 뉴스 [20236030] (0) | 2023.07.01 |
주요 경제 뉴스 [20230628] (0) | 2023.06.29 |
주요 경제 뉴스 [20230627] (0) | 2023.06.28 |
주요 경제 뉴스 [20230626] (0) | 2023.06.27 |